정보통신공학과 노선변경기
퍼블릭 클라우드 1일차 핵심서비스 본문
기존=물리서버
가상서버(VM) = 인스턴스 = VM 인스턴스 = AWS EC2(인스턴스)
- 퍼블릭 클라우드 핵심 서비스 5가지
- Compute Service : CPU , RAM 용량 설정
- Storage Service : HDD, SSD 용량 설정
- Network Service : NIC(Network Interface Card), Switch 설계
- Image Service : OS 운영체제 설정
- Identity(security) Service : user name, password, 역할, 방화벽
- 선택적 서비스 2가지
- Database service : SQL 데이터베이스
- DNS service : Domain name server management
*AWS
- Compute Service : EC2(Elastic Compute Cloud)
- Storage Service :
3대 스토리지
- 블록 스토리지 : 서버의 하드디스크(C드라이브, root volume)
EBS(Elastic Block Store)
- 파일 스토리지 : NFS, SMB, 네트워크 공유 폴더의 개념
EFS(Elastic File System)
- 객체 스토리지 : 구글드라이브, 원드라이브, 마이박스..., URL링크를 쉽게 생성하여 공유
S3(Simple Stroge Service)
- Network Service : NIC(Network Interface Card), Switch 설계
VPC(Virtual Private Cloud) : 격리된 네트워크
- Image Service : OS 운영체제 설정
AMI(Amazon Machine Image) :
- Identity(security) Service : user name, password, 역할, 방화벽
IAM(Identity Access Management), SG(Security Group)
- Database Service : RDS(Relational Database Service)
- DNS Service : Route53(Route 경로설정, 53 DNS 서비스포트번호 UDP53)
*Region 지역
ap-northeast-2 → 서울지역 리전 이름
availability zone → 가용성 영역(데이터센터)
ap-northeast-2a
ap-northeast-2b
ap-northeast-2c
ap-northeast-2d
방화벽의 특징
모든 포트를 차단하고, 접속이 필요한 포트만을 개방한다.
'Sub5_퍼블릭 클라우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퍼블릭 클라우드 5일차 Azure 마무리, GCP (0) | 2021.07.11 |
---|---|
퍼블릭 클라우드 4일차 Azure 가상머신, DNS, LB, IIS (0) | 2021.07.11 |
퍼블릭 클라우드 3일차 AWS 템플릿, VPC, RDS(Mysql), 워드프레스(wordpress) (0) | 2021.07.11 |
퍼블릭 클라우드 2일차 AWS (0) | 2021.07.11 |